[Journal of Ginseng Research. 2018년 10월]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의학에서 장수는 정신적/육체적 결손없이 오래 사는 것이라고 정의한다.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예방은 장수에 도움이 되나, 현재의 알츠하이머병 치료법은 근본적인 치료를 하지는 못하고 증상만 완화한다. 본 리뷰 논문에서는 고려인삼(Panax Ginseng)이 알츠하이머병을 위한 보조치료제로서 가치가 있는지를 논의한다.
2. 연구결과
최근의 연구는 고려인삼 추출물이 알츠하이머병 환자들의 증상을 개선하고, 인삼의 두 가지 주요 성분이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증명했다. 즉,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s)는 알츠하이머병과 관련한 다양한 신경보호효과를 나타낸다. 그리고 진토닌(gintonin)은 신규 인삼 성분으로 리소포스파티드산(lysophosphatidic acids)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알츠하이머병과 관련한 뇌신경병증을 줄인다. 진세노사이드는 β- 및 γ-시크레타아제(secretase)의 작용을 억제하거나 비아밀로이드성 경로(nonamyloidogenic pathway)를 활성화하여 아밀로이드 β-단백질(Aβ; amyloid β-protein)의 형성을 줄이고,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스(acetylcholinesterase)의 작용과 Aβ에 의한 신경독성을 억제하며, Aβ에 의한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의 생성과 신경염증반응을 줄인다. 진세노사이드의 경구 투여는 뇌에서 아세틸콜린 합성에 관여하는 효소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알츠하이머병 동물모델에서 Aβ에 의한 콜린성 결손을 완화한다. 마찬가지로, 진토닌은 Aβ에 의한 신경독성을 억제하고, 비아밀로이드에 의한 발병 기전을 활성화하여 Aβ 형성을 줄이고, 리소포스파티드산 수용체는 (lysophosphatidic acid receptors)를 통하여 뇌의 아세틸콜린 및 콜린 아세틸전달효소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진토닌의 경구 투여는 뇌에 아밀로이드 플라그(amyloid plaque)가 축적되는 것을 억제하여, 해마에서 콜린성계통과 신경발생을 촉진하여 학습과 기억력 장애를 개선한다. 진토닌은 또한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인지기능을 개선한다. 진세노사이드와 진토닌은 여러 경로를 통하여 알츠하이머병과 관련한 신경병증을 완화한다.
3. 결론
본 리뷰는 고려인삼 성분이 알츠하이머병 치료 보조제의 후보군이 될 수 있다는 것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그러나 고려인삼 성분을 임상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와 병용하여 고려인삼의 효능과 내약성 분석을 포함한 임상적 연구가 필요할 수 있다."
|